티스토리 뷰
1. '메다'와 '매다', 왜 헷갈릴까요?
'메다'와 '매다'는 발음이 정말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워요. 하지만 두 단어는 전혀 다른 뜻을 가지고 있답니다. 마치 똑같이 생긴 쌍둥이처럼 보여도 성격이 다른 것과 같아요. 오늘 이 두 단어의 진짜 의미를 확실히 알려드겠습니다.
2. '매다'는 언제 쓸까요? 어깨에 매다!
'매다'는 무언가를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는다는 뜻입니다. 가방을 어깨에 걸거나, 짐을 어깨에 올릴 때 '매다'를 쓴답니다. 혹시 헷갈린다면 '어깨'와 '매다'에 똑같이 '어'가 들어가는 걸 기억해보세요. 이 방법으로 '어깨에 매다'를 떠올리면 쉬울 거예요.
3. '메다'는 언제 쓸까요? 신발끈을 메다!
'메다'는 끈이나 줄의 양 끝을 묶어서 풀어지지 않게 만드는 것을 말해요 . 신발끈을 묶거나, 넥타이를 맬 때 '메다'를 사용하죠. '메다'의 가운데 부분을 보면 마치 두 개의 선이 만나 꽉 묶인 모양 같지 않나요? 끈이 묶여지는 그림을 떠올리면 '메다'의 뜻을 쉽게 기억할 수 있을 거예요.
4. 퀴즈로 확인해봐요!
이제 얼마나 이해했는지 간단한 퀴즈로 확인해볼까요?
Q. '어깨에 가방을 매다'와 '매다' 중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요?
A. 정답은 '매다'예요.
Q. '신발끈을 매다'와 '메다' 중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요?
A. 정답은 '메다'입니다.
이제 '매다'와 '메다', 더 이상 헷갈리지 않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교육영화추천
- 실화 기반 영화
- 감동 실화 영화
- 실화바탕영화
- 실화 바탕 영화
- 실화스포츠영화
- 베를린 올림픽 육상
- 미식축구 영화
- 마크 월버그
- 가족 영화 추천
- 실화영화
- 그레이터
- 스프링복스
- 실화 영화
- 감동 스포츠 영화
- 감동 실화
- 브랜드 버럴스 실화
- 스포츠영화추천
- nfl 실화 영화
- 성장 영화
- greater 2016
- 실화
- 850일
- 스포츠 드라마
- 팀워크 영화
- 동기부여영화
- 스포츠 감동 영화
- 복싱영화
- 스포츠영화
- 인종차별 영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