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대가''댓가', 뭐가 맞을까요? 🤔

여러분, '대가''댓가', 뭐가 맞는 표현인지 헷갈리시죠?

어떤 게 맞을지 늘 고민하게 됩니다.

정답은 바로 '대가' 입니다.

'대가'는 물건 값을 내는 돈이나,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치르는 희생을 뜻합니다.

 

 

2. '대가'는 왜 '대가'일까요? 한자어의 비밀! 🤫

용어 구성 한자 의미 사이시옷 규칙
대가 대신할 대() + 갓 가() 노력이나 희생에 대하여 받는 보수나 대상 한자어 + 한자어 조합은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음

'대가'가 왜 '대가'일까요?

그 이유는 한자어에 숨겨져 있습니다.

'대가''대신할 대()''갓 가()'가 합쳐진 말입니다.

이렇게 한자어 두 개가 만나서 만들어진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답니다.

마치 두 한자어가 서로를 존중하며 '우리 사이에 시옷은 넣지 말자!' 약속한 것입니다.

3. '대가'처럼 사이시옷이 안 붙는 다른 단어들은? 💡

'대가'처럼 한자어끼리 만나 사이시옷이 안 붙는 단어들이 또 있습니다.

어떤 단어들이 있을까요?

개수: 물건의 수를 셀 때 쓰는 단어입니다.

시가: 시장에서 정해지는 물건 값이죠.

고가: 값이 비싼 물건을 말합니다.

이 단어들도 모두 한자어 합성어라서 사이시옷이 붙지 않습니다.

4. '대가' 없는 호의, 여러분은 믿으시나요? 🤔 (번외 질문)

'대가 없는 호의'가 있다고 믿으시나요?

, 아무런 보상이나 희생 없이도 누군가에게 친절을 베푸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인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