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되려와 도리어, 비슷하지만 달라요!

by 슬기마루 2025. 10. 19.
반응형

1. ‘되려’의 의미와 쓰임

‘되려’는 ‘되다’의 활용형(=되어 → 되여 → 되려) 입니다.
따라서 문법적으로는 ‘되어’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오히려’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문으로 살펴볼까요?

  • 그는 미안해하기는커녕 되려 화를 냈다.
  • 걱정해 줬더니 되려 나를 이상하게 보더라.

위 문장에서는 ‘되려’를 ‘오히려’로 바꿔 써도 뜻이 통합니다.
즉, 예상과 반대되는 상황이나 의외의 결과를 강조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되려’는 원래 ‘되어’의 발음이 변한 형태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되어’의 준말로만 인정됩니다.
즉, 문법적으로는 ‘되려’를 ‘오히려’ 대신 쓰는 것은 비표준적이라는 점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2. ‘도리어’의 정확한 의미

‘도리어’는 표준어이며, ‘오히려’와 완전히 같은 뜻으로 쓸 수 있습니다.
즉, ‘되려’가 구어체에서 자주 쓰이는 반면, ‘도리어’는 문어체나 격식 있는 글에 더 적합합니다.

📌 예문을 보면 더 명확합니다.

  • 꾸중을 들을 줄 알았는데, 도리어 칭찬을 받았다.
  • 그는 도와주지 않고 도리어 방해만 했다.

이처럼 ‘도리어’는 상황이 예상과 반대로 전개될 때 쓰이며, 표준적인 표현입니다.

3. 되려 vs 도리어, 이렇게 구분하세요

👉 따라서 공식 문서나 글쓰기에서는 ‘도리어’를,
일상 대화나 SNS에서는 ‘되려’를 자연스럽게 쓸 수 있습니다.

4. 실생활에서의 사용 팁

마무리

‘되려’와 ‘도리어’는 뜻이 비슷해 보여도,
하나는 구어적 표현이고 하나는 표준어입니다.
글을 정확하고 신뢰감 있게 쓰려면, 문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하루에 한 표현씩이라도 정확히 익히면,
당신의 문장은 도리어 훨씬 더 힘 있고 깔끔해질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