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글을 정확하게 쓰는 사람은 단어의 ‘소리’보다 ‘뜻’을 구분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특히 ‘개발’과 ‘계발’은 발음이 같아 헷갈리지만, 쓰임은 분명히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개발(開發)’의 뜻 –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발전시키다

‘개발’은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기존의 것을 더 나은 상태로 발전시키는 행위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눈에 보이는 것을 발전시키는 일입니다.
📘 예문으로 살펴보기
- 정부는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 이 지역은 관광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 ‘개발’은 주로 산업·기술·지역·자원 등과 함께 쓰입니다.
즉,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대상이 중심이죠.
2. ‘계발(啓發)’의 뜻 – 능력이나 재능을 깨우치다

‘계발’은 사람의 마음이나 재능, 생각 등을 일깨워 발전시키는 일을 의미합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성장에 초점을 둡니다.
📗 예문으로 살펴보기
- 독서는 자기 계발에 도움이 된다.
- 직원들의 역량 계발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다.
- 교육은 인재 계발의 핵심이다.
👉 ‘계발’은 주로 능력·재능·의식·역량 등 추상적인 대상과 어울립니다.
3. 비교로 한눈에 정리

4. 헷갈리는 문장으로 구분 연습하기

1️⃣ 그는 새로운 어플을 (개발 / 계발) 했다.
→ 개발 : 눈에 보이는 프로그램(제품)을 만든 것이므로 ‘개발’이 맞습니다.
2️⃣ 꾸준한 독서 습관은 자기 (개발 / 계발) 에 도움이 된다.
→ 계발 : 내면의 능력 향상과 관련 있으므로 ‘계발’이 옳습니다.
3️⃣ 회사는 직원 교육과 기술 (개발 / 계발) 을 병행하고 있다.
→ 둘 다 가능 : ‘기술 개발’과 ‘직원 계발’이 각각 다른 의미로 쓰인 문장입니다.
5. 기억하기 쉬운 구분법

🔹 개발 → 밖으로 드러나는 발전
🔹 계발 → 안에서 성장하는 발전
👉 외적인 변화는 개발,
👉 내적인 변화는 계발.
이렇게만 기억해도 대부분의 문맥에서 정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하며

반응형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빌리다’와 ‘빌다’, 헷갈리는 두 단어의 정확한 구분법 (0) | 2025.10.21 |
|---|---|
| ‘혼돈’ vs ‘혼동’, 헷갈리는 두 단어의 정확한 구별법 (1) | 2025.10.20 |
| ‘한참’과 ‘한창’, 헷갈리는 두 단어의 확실한 구분법 (0) | 2025.10.20 |
| 떠벌리다와 떠벌이다, 비슷하지만 뜻이 달라요 (0) | 2025.10.20 |
| 들르다와 들리다, 헷갈리면 문장의 뜻이 달라저요 (0) | 202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