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창고

헷갈리는 맞춤법, '좇다'와 '쫓다' 완전 정복!

by 슬기마루 2025. 10. 17.
반응형

1. '좇다''쫓다', 뭐가 다를까요?

우리가 흔히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좇다''쫓다'가 있어요. 이 두 단어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은 아주 다르답니다.
'좇다'는 마치 꿈이나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것처럼어떤 생각이나 이상을 따라가거나 추구할 때 쓰는 말이에요.

반면에 '쫓다' 누군가를 잡으려고 뒤를 쫓거나어떤 대상을 멀리 보내버릴 때 사용하는 단어랍니다.

 

2. 꿈을 '좇다' vs 도둑을 '쫓다', 왜 다를까요?

단어 의미 사용 예시 비고
좇다 목표나 이상을 향해 따르거나 나아감 꿈을 좇다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긍정적인 의미
쫓다 뒤를 따라가 잡으려 하거나, 내몰거나 밀어냄 도둑을 쫓다, 형사가 범인을 쫓는다 대상을 잡거나 내쫓는 의미

, 그럼 예시를 보면서 왜 이렇게 다른지 알아볼까요?
"꿈을 쫓다""꿈을 좇다", 둘 중 뭐가 맞을까요?

정답은 "꿈을 좇다"가 맞습니다.

만약 "꿈을 쫓다"라고 하면꿈을 멀리 쫓아내버린다는 이상한 뜻이 되어버려요.

우리는 꿈을 내쫓는 게 아니라, 꿈을 향해 나아가고 싶잖아요? 그래서 꿈을 '좇다'라고 해야 맞아요 .

그럼 "형사가 범인을 쫓는다"는 맞을까요, 틀릴까요?

이건 "형사가 범인을 쫓는다"가 맞습니다.

형사는 범인을 잡기 위해 뒤를 따르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도둑처럼 잡으려고 따라갈 때는 '쫓다'를 쓰는 거죠.

3. '좇다''쫓다', 이렇게 연습해봐요!

헷갈리지 않도록 몇 가지 예시로 더 연습해봐요!

구분 활용 예시 설명
좇다 유행을 좇다 최신 유행을 따르는 것을 의미해요.
좇다 취향을 좇다 자신의 좋아하는 것을 따라가는 것을 의미해요.
쫓다 도둑을 쫓다 도둑을 잡기 위해 뒤따라가는 것을 의미해요.

'좇다' 유행이나 취향처럼 추상적인 것을 따라갈 때 주로 써요.

'쫓다' 도둑처럼 구체적인 대상을 뒤따르거나 멀리 보낼 때 사용하죠.

소리 내어 읽어보면서 연습하면 더 도움이 될 거예요!

유행을 좇다좇다, 좇아, 좇으니, 좇는.

도둑을 쫓다쫓다, 쫓아, 쫓으니, 쫓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