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대'와 '데', 둘 다 맞다고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대'와 '데' 때문에 헷갈리시죠? 과연 어떤 표기가 맞을까요? 놀랍게도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의미가 다르니 주의해야 해요. 이 영상에서는 이 두 표현의 올바른 사용법을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올바른 한국어 사용을 위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 '대'는 언제 쓰는 걸까요? 남의 말을 전할 때!
우리가 '대'를 쓸 때는 주로 전에 들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전할 때입니다. 마치 메신저처럼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 아기가 숨어있대."라고 하면 "아기가 숨어있다는 말을 내가 들었고, 그 말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시로, "철수가 거기 맛있대."는 철수에게 들은 이야기를 그대로 전달하는 표현입니다.
3. '데'는 언제 쓰는 걸까요? 내 경험을 이야기할 때!
반면에 '데'는 자신의 과거 경험을 이야기할 때 사용합니다. '데' 속에는 마치 '-더라'라는 말이 숨어있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야, 그 집 가서 먹어 봤더니 참 맛있데."라고 하면, 내가 직접 그 집에 가서 먹어보니 맛있었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내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할 때 '데'를 쓴다고 기억하면 쉽습니다.
4. '대'와 '데', 이제 헷갈리지 않겠죠?
구분 | 용법 | 예시 |
대 |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할 때 | 그 식당 참 맛있대 |
데 | 나의 경험을 이야기할 때 | 그 식당에 가봤는데 맛있더라 |
이제 '대'와 '데'의 차이를 아시겠죠?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할 때는 '대', 그리고 나의 경험을 이야기할 때는 '데'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두 표현을 제대로 구별해서 사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풍부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올바른 맞춤법 사용,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반응형
'정보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주워'와 '주서' 완전 정복! (0) | 2025.10.16 |
---|---|
헷갈리는 맞춤법, '의', '에' 완전 정복! (0) | 2025.10.16 |
헷갈리는 맞춤법, '돼서', '되서' 완전 정복! (0) | 2025.10.15 |
헷갈리는 맞춤법, '되', '돼' 완전 정복! (0) | 2025.10.15 |
헷갈리는 맞춤법, '붙이다' '부치다' 완전 정복! (0) | 2025.10.14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감동 실화 영화
- 미식축구 영화
- 스포츠영화추천
- 실화 바탕 영화
- 감동 스포츠 영화
- 실화영화
- 실화 영화
- 복싱영화
- 가족 영화 추천
- 동기부여영화
- 실화스포츠영화
- 맞춤법
- greater 2016
- 실화바탕영화
- 인종차별 영화
- 브랜드 버럴스 실화
- 스포츠영화
- nfl 실화 영화
- 스포츠 감동 영화
- 마크 월버그
- 실화
- 성장 영화
- 실화 기반 영화
- 감동 실화
- 스포츠 드라마
- 교육영화추천
- 그레이터
- 팀워크 영화
- 돼
- 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